투명경영으로
미래가치를 창출합니다.

투자관리

Scroll Down

투자관리 페이지

투자위원회 운영

SK네트웍스는 신규투자 및 매각, 주요한 지배구조 변경에 대한 전략 적합성, 집행의 합목적성 및 적정성, 투자 경제성, Risk 등을 검토, 심의하고 의사 결정하기 위해 ‘투자위원회’를 설치 및 운영합니다.

투자위원회 역할 및 구성

투자위원회는 경영 환경, 재무, 법무, ESG 등에 대하여 사전 검토된 투자 시안을 바탕으로 협의 및 토론을 진행하고 최종 의사 결정을 합니다.
투자실무협의체는 투자 사안에 대해 Risk 점검 중심의 사전 검토를 주관하고 투자실무협의체에서 검토된 의견서는 투자위원회에 제시됩니다.

상정위원회는 투자실무협의체 이전에 안건의 투자위원회 상정 여부를 사전 검토하며1), 견제 전담 조직(Red Team)은 투자위원회에 상정된 안건에 대해 발의부서와 별도로 Risk 및 투자 타당성을 분석∙검토하는 안건별 임시 조직2)으로서, 이사회 부의 대상 투자 건에 한하여 Worst Case Projection 제시 등 검토 결과물을 투자위원회와 이사회에 별도로 제출합니다3)

1) 내부 구성원은 투자실무협의체와 동일
2) 경영지원본부장(CFO) 산하 Virtual TF로 운영, RM실장 실무 총괄 및 투자실무협의체 구성팀의 팀원들로 구성
3) 기존 투자 금액 변경의 건, 기존 사업의 확장에 따른 투자는 검토 대상에서 제외하되, 예외적으로 경영진의 결정 및 상정위원회 의결로 대상을 추가할 수 있음.

투자위원회
  • 위원 : 대표이사, 사업총괄사장, AI본부장, 경영지원본부장, 기획재무실장, RM실장, 지속경영실장
  • 간사 : AI Portfolio Innovation 실장
투자실무협의체 / 상정위원회
  • 위원 : Global Investment Group팀장, 전략팀장, 재무팀장, 회계팀장, 세무팀장, 법무팀장, ESG경영팀장, RM파트장
  • 구매성 투자의 경우, 구매/자산관리팀장 포함
* 2025년 1분기 기준

투자 프로세스

투자위원회 운영 프로세스에 관한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을 참고해주세요. 투자위원회 운영 프로세스에 관한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을 참고해주세요.
  • 발의부서
  • 상정위원회 실패시 보완사항으로 발의부서 단계로 이동 조건 충족 시, 필요 시 견제 전담 조직을 총해 투자위원회 or 내부투자위원회 단계로 이동
  • 투자실무협의체
  • 투자위원회 or 내부투자위원회
  • 결과 통보 조건 충족 시 이사회 결의 단계로 이동
  • 이사회 결의 조건 충족 시 주주총회 단계로 이동
  • 주주총회
  • ※ 의결기준 : 전략적 방향성, R&C 확보방안, Valuation, Milestone, 주요 issue 및 Contingency Plan, ESG/SV, Exit plan 기타 등 ※ 투자위원회 통과 기준 : 전체 위원의 2/3 이상 참석 위원의 2/3 이상 찬성 필요

* 이사회 승인 가결을 필요로 하는 투자 대상일 경우, 전략·ESG경영위원회를 통한 사전 심의 절차 진행 후 이사회의 최종 검토를 거쳐 의결합니다.